-
군복무 중 목돈 모으는 가장 확실한 방법!
장병내일준비적금으로 전역 후 2천만 원 마련, 가입방법과 혜택 총정리
장병내일준비적금 목차
1. 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장병내일준비적금, 4가지 혜택 먼저 알고 가세요
2. 가입방법(신청 방법)과 가입조건,
매칭지원금, 실수령액,지급시기, 해지
3. 만기 실수령액 시뮬레이션 변천사
실수령 2천만원 넘는다. 이건 꼭 해야 한다!
군 복무 중 55만 원씩 적금만 넣어도,
제대 후 총 2천만 원 이상을 손에 쥘 수 있는 ‘장병내일준비적금’ 들어보셨나요?정부가 병사 처우 개선을 위해 만든 대표 금융정책으로,
2025년 기준 정부 매칭지원금 매칭비율:100%
많은 분들이 “언제 가입해야 하나요?”, “전역 후에도 되나요?” 같은 질문을 하는데,
지금 이 글에서 실전 가입 방법과 해지 총정리해드릴게요.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병역의무 이행기간 중 급여를 적립하여 합리적인 저축습관 형성을 돕고,
전역 후 목돈마련을 지원하여
사회로 진출하는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딜 수 있게 자산형성 지원 적금제도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4가지 혜택 먼저 알고 가세요
1. 매칭지원금 100%
국가가 납입액의 100%를 추가 지원해주는 매칭 방식으로,
내가 저축한 만큼 동일한 금액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2. 세금 0원! 높은 이자!
보통 적금은 이자에서 15.4% 세금(이자소득세)이 빠져나가요.
하지만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돼
세금 0원, 이자 전액 그대로 수령합니다.정부와 은행이 함께 지원하는 혜택, 시중 적금보다 훨씬 높은 이자
이건 진짜 마이너스 없이 얻기만 하는 플러스 구조입니다.
3. 저축습관 형성
왜? 군 복무 중 자동 저축으로 강제 소비 절제와
매달 급여 일부를 자동으로 저축하게 되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절제된 소비 습관을 형성하여 건강한 저축습관계획적인 사회 복귀 설계에 활용 가능합니다.
4. 취약계층·저소득 병사에 대한 추가 우대 혜택 존재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병사의 경우,
우대 이자율 또는 추가 장려금 지원 등 더 유리한 조건이 제공됩니다.놓치면 손해인 4가지 이유를 이해하셨죠?
군 복무 중 적금이라고 단순하게 보면 안 됩니다.
국가가 보조하고, 은행이 이자 얹어주고, 심지어 세금도 0원.
전역 후 바로 목돈을 쥐는 실전형 정책입니다.지금부터 가입 방법과 실수령액을 확인해 보세요.
그야말로 ‘복무 중 투자’라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가입 시기
복무 중 언제든지 가능해요.( 일반적으로 훈련소에서 가입)
입대 후 3~4개월 뒤 신청도 OK!
단, 신청 시점 이후 납입금만 매칭 지원돼요. 전역 전엔 꼭 개설해야 혜택 적용됩니다.
가입 방식
월 최대 55만 원까지 자유롭게 넣을 수 있어요.
납입 안한 달은 패널티 없이 제외, 납입한 달만 매칭됩니다.
매칭지원금 핵심
정부는 내가 납입한 금액 100% 매칭 지원
예: 18개월 X 55만 원 납입 시 = 990만 원 + 정부 990만 원 = 1,980만 원
2025년부터는 매칭율 100% 상향
지원 시기 : 적금을 만기해지한 다음달 25일에 지급(휴일인 경우 그 전 평일에 지급)
소집해제(적금 만기해지 시) 후 병역증 또는 병적증명서 은행에 제출
✓ 적금을 가입하였던 각 은행에 보유하고 있는 본인 입출금 계좌로 각각 입금
가입 방법
1. 은행신청방법:
- 장병내일준비적금 자격확인서 (소속 부대 행정반에서 발급)
- 신분증
- 가입 은행 창구 방문 (14개 은행 중 선택)
14개 시중은행 어디서든 신청 가능.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은 상이하므로 반드시 해당 은행에 확인 필수
가입예시 : 군인 1인은 개인별 최대 월 55만원 납입할 수 있어요.
은행 통장은 한도가 매월 30만원입니다.
55만원 채우려면 2개의 은행에서 A은행: 30만원, B은행: 25만원 각각 납입 해야겠죠.
같은 은행에서 55만원 가입할수 없음, 은행을 다르게 설정함.
2. 비대면 가입방법(나라사랑포털 앱, e-병무지갑)
▶ <나라사랑포털 앱>
· 경로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신청 → 가입자격확인서 신청 및 발급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하기 클릭 → 제출은행 선택→ 은행 앱에서 적금 가입
· 가입 은행 : 국민, 기업, 하나, 신한, 우체국, 아이엠, 수협, 광주, 전북
▶ <e-병무지갑>
· 경로 : 우대·편의서비스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신청 → 가입자격확인서 신청 및 발급 → 제출은행 선택→ 은행 앱에서 적금 가입
·
해지는 두 가지 방법 있어요
1️⃣ 만기해지
전역 이후 적금을 해지하는 정상 절차예요.
이 경우엔 입금한 금액 + 이자 + 병무청 매칭금까지 전액 수령 가능해요!
아래 서류 중 1가지를 꼭 지참해서 은행에 제출해야 해요:
■ 전역 후 준비할 서류 중 택 1
- 병역증
- 전역증
- 병적증명서
- 복무사실확인서2️⃣ 중도해지
복무 중에 적금을 해지하는 경우예요.
이럴 땐 이자만 받고, 병무청 매칭지원금은 받을 수 없어요.📄 장병내일준비적금 해지 서류는 📎 병무청 공식 리플릿 PDF를 [여기서 미리보기] 하실 수 있어요!
📄 관련 서류와 절차가 궁금하다면 공식 리플릿 PDF로 확인해보세요.
적금관련문의: 전화상담 24시간 응대 체제
📞 은행 자동이체 오류, 걱정 마세요!
자동이체 설정을 실수하거나 날짜 전에 입금해도 괜찮아요.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번호로 전화를 건 후, ‘예금 → 군적금 상담’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국민은행 ☎ 1588-9999 → 0번 → 예금/적금
- 신한은행 ☎ 1577-8000 → 상담원 연결
- 우체국 ☎ 1588-1300 → ARS 2번 → 예금
- IBK기업은행 ☎ 1566-2566 → 0번 상담원
무리하게 혼자 걱정하지 말고, 전화 한 통이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 단 은행마다 응대 차이는 있습니다.마무리 요약
자격확인서 먼저 준비하기
은행 방문 일정 잡기
복무 중 통장 개설 + 납입 설정▷ 일반적으로 훈련소에서 대부분 가입
군적금은 '군 복무 기간' 동안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전역하는 시점에 납입이 종료되며,
미처 납입하지 못한 금액이 있더라도 전역 후에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하다는것 기억해 주세요!
만기 실수령액 시뮬레이션 변천사
1. 변천1 (월 40만 원 납입기준 × 24개월)
2. 변천2 ■ 월 납입액 : 55만원
납입기간 : 18개월
총납입금액 : 55만원 x 18개월 = 990만원
은행이자 : 연 5% = 약 40만원
정부 매칭 지원금 : 990만원
총 받게 되는 실수령 금액: 990+32만원+990만원=2020만원
장병 내일준비적금을 가입하는 경우 전역 시 2,000만 원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군 복무 기간 동안 모은 돈이 전역 후 진짜 출발 자금이 되는 셈이죠.사회복귀 준비금을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단 한 번의 가입으로 2,000만 원 정도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매칭지원금 100%, 이 황금 같은 기회는 군 복무 기간에만 주어집니다. 전역 후엔 절대 받을 수 없습니다.
결론:
시중 은행 적금과는 차원이 다른 비과세 혜택! 세금까지 아껴주는 적금, 지금이 아니면 경험할 수 없습니다.
선배 장병들의 90% 이상이 강력 추천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 먼저 시작한 그들이 왜 적극 권할까요?
신병교육대에서 바로 가입할 수 있는 기회! 이때 놓치지 마세요.
전역 후 이 목돈으로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장병내일준비적금이 여러분의 미래를 현실로 만들어 드립니다.
첨고해도 좋은글
군 복무중 돈모으는 꿀조합! 청년도약계좌 ,군적금,군공제회
출처:
본 글은 병무청 공식 리플릿과 안내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병무청 누리집 또는 해당 은행 창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병무청 공식사이트, 대한민국 국방부